치매 걸리는 이유, 원인에 대해 살펴 보겠습니다.
치매는 뇌질환으로 인해 기억, 언어 등 인지기능이 떨어지고 일생생활에 상당한 지장을 받는 상태를 묶어서 치매라 일컫습니다.
옛날에는 ‘망령이 들었다’, ‘노망이 났다’라고 하며 나이가 들어 노인이 되면 자연스레 걸리는 것으로 여겼습니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꼭 나이든 노인분들만 치매에 걸리는 것이 아닙니다.
젊은 사람들 사이에도 치매에 걸리기도 하는데 65세 미만의 치매를 ‘초로기 치매’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병 중에 가장 지독한 병이라고 알려진 치매에 걸리는 이유와 원인에 대해 살펴 보겠습니다.
기억력 저하와 치매 기억장애의 차이
나이가 들어 노화가 되면 자연스럽게 뇌에도 노화현상이 일어납니다.
이때는 경험한 것의 일부 기억을 잊어버리기도 합니다.
하지만 지나치게 심해지지 않고 스스로 기억을 안나는 것을 인지합니다. 또한 일상 생활에 지장이 없을 정도로 활발한 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치매로 인한 기억장애는 뇌에 직접적인 손상으로 인한 장애가 발생한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그래서 손상된 뇌의 부위에 따라 신체 기능을 잃게 됩니다. 경험한 것의 기억이 전체가 없어져 버립니다.
새로운 기억의 축적이 어려울 뿐 아니라 심해지면서 올바른 판단이 어려워 집니다. 예를 들면 윗도리를 바지처럼 입기도 합니다.
스스로 기억을 잊어버린 것조차 잘 모릅니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일상생활이 어려워 질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위생관리부터해서 규칙적인 생활 자체가 어렵습니다.
치매 원인
치매에 걸리는 직접적인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뇌의 상태에 따라 원인을 구분하기도 합니다. 이것은 치매의 종류와도 연결이 되는데 다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알츠하이머병
뇌에 베타 아밀로이드 플라크와 타우 단백질 엉킴이 쌓여 신경세포를 손상시킴으로 치매를 유발합니다. - 혈관성 치매
뇌졸증이나 뇌경색 등으로 뇌혈관이 터지거나 막혀 뇌가 손상됩니다.
골든타임이 있어 빠르게 조치를 취하지 못하게 될 경우 큰 후유증을 남기면서 치매가 발병합니다. - 루이 소체 치매
알츠하이머와 비슷한데 루이 소체라는 비정상 단백질 덩어리가 쌓여 뇌 신경세포를 손상시킵니다.
파킨슨과 유사한 운동 장애, 환시가 발생하는 것이 큰 특징입니다. - 전두측두엽 치매
전두엽과 측두엽의 신경세포 손상으로 발생합니다.
특별히 성격변화가 크고, 행동장애와 언어 장애가 동반합니다. - 기타 원인
뇌종양, 뇌 감염, 갑상선 질환, 비타민 결핍, 약물 부작용 등으로 치매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치매 걸리는 이유
치매 걸리는 이유 결국 뇌의 신경세포가 손상됨으로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신경세포는 왜 손상되는 걸까? 뇌에는 왜 이상한 단백질등이 쌓이는 걸까요?
많은 전문가와 과학자들이 연구해 보지만 정확한 발생기전을 확인하기는 어려운가봅니다.
그럼에도 사람들이 추측하기로 발병률을 높이는 치매에 걸리는 이유 몇가지를 살펴보겠습니다.
- 나이
흔히 노인성 질환이라고 해서 알려지던 치매입니다.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이유이기도 하지요. - 유전
가족 중에 치매 환자가 있는 경우 발병률은 높아집니다.
알츠하이머의 경우 유전자 검사를 통해 유전인자가 있는지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 생활 습관
모든 질병이 그렇듯 생활 습관으로 인해 세포노화를 앞당겨 발병률이 높아집니다.
흡연이나 과읍, 운동 부족과 비만 등은 다른 질병뿐만 아니라 치매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 심혈관 질환
혈관성 치매와 같이 우리 몸의 혈관의 건강이 전신에 영향을 미칩니다.
우리 몸은 머리부터 발끝까지 모두 연결되어 있으니 비슷한 증상들이 머리에서 나타난다고 해서 이상할것 같진 않네요. - 뇌 손상
사고등으로 인한 외상성 뇌 손상은 직접적으로 뇌를 손상시킴으로 치매 발병률을 높입니다.
치매 치료에 관한 책들을 살펴봐도 여느 질병들과 마찬가지로 생활습관은 정말 중요한 것 같습니다.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고 위험 요인을 관리하는 것이 참으로 중요해 보입니다.
마무리
치매에 걸리는 원인은 신경세포의 손상이고 신경세포가 손상되어 치매에 걸리는 이유는 조금 허무하게 느껴집니다.
나이, 유전, 외상성 뇌손상은 내가 선택할 수 없는 영역인듯 합니다.
이런 이유는 확률적으로 안 걸리길 바라는 수밖에 없지만 다른 요인들이 겹치면 발병률이 높아지겠지요.
우리가 선택 할 수 있는 영역은 건강한 생활습관을 가지는 것인 듯 합니다.
막연한 생각으로 뇌신경 관련이기 때문에 뇌를 많이 사용하면 치매에 안 걸리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해 보았습니다.
책도 읽고 평생공부하며 뇌를 쓰면 좀 낫지 않을까? 하지만 막상 치매 걸리는 이유를 알아보니 상당히 물리적인 원인들이네요.
신체의 건강이 정신 건강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다시한번 확인하는 기회가 된것 같네요.
모두들 건강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