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의 종류 5가지와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표적인 치매로는 알츠하이머를 들 수 있습니다.
저희 어머니도 알츠하이머로 오랜 시간 고생하고 계십니다. 유전이 될 수 있다하여 혹 대비할 수 있을까 싶어 공부해 보려고 합니다.
치매는 기억뿐만 아니라 뇌기능이 거의 마비된다고 보면 됩니다.
올바른 판단을 할 수가 없고 제대로된 생각을 할수도 없습니다.
감정조절도 어려워지고 시간과 공간에 대한 개념도 뒤죽박죽이 되어서 혼란스러워집니다.
본인에 대한 자각도 점점 잊어버리게 되는 불행한 병 중에 하나입니다.
치매는 한가지로 ‘치매’인줄 알았는데 여러가지 종류로 또 나눠지더군요.
대표적인 치매의 종류와 특징들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알츠하이머 치매
가장 흔한 형태로 전체 치매환자 중 60% – 70%를 차지합니다.
초기엔 주로 최근 기억에 대한 건망증이 심해진다는 것입니다. 신기하게도 오래된 기억은 생생한데 최근 기억이 감퇴한다고 합니다.
알츠하이머 치매는 점진적으로 진행되는데 나도 모르는 사이 10년 20년 전부터 서서히 진행될 수 있다고 합니다.
점진적으로 다른 인지기능이 저하되고 이상한 행동들이 빈번하게 나타나면서 발견했을 때는 이미 많이 진행되었다고 볼 수 있을것입니다.
말기에는 신경학적이고 신체적인 증상들도 많이 나타납니다. 걷기가 힘들어지고 움직임이 적어지다 보니 사지 경직도 뒤따라옵니다.
혈관성 치매
말 그대로 혈관성 질병에 의해 발병되는 치매입니다. 흔한 경우가 뇌출혈이나 뇌졸증 등으로 쓰러졌다가 치매로 이어지는 것입니다.
골든 타임을 놓치면 사망만 생각하는데 어중간하게 치매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뇌질환의 위치나 침범 정도에 따라 증상도 다르고 정도와 시가도 매우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큰 특징은 편마비 증상처럼 보행 장애나 운동 마비가 나타납니다. 발음이 이상해지는 등 신경학적이고 신체적인 증상이 초기부터 흔하게 나타난다는 것입니다.
전체 치매환자 중 20% – 30%를 차지합니다.
이 정도만 보면 대부분이 알츠하이머치매나 혈관성 치매에 속한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레비소체를 동반한 치매와 파킨슨병 치매
레비 소체란 신경세포 내에 비정상적인 원형 단백질 침착물을 말합니다. 이 레비 소체들이 뇌의 바깥층에 축적되면서 뇌 손상을 일으킵니다.
파킨슨병 치매는 파킨슨 진단 후 보통 10년 – 15년 후 레비 소체들이 발생하면서 치매로 이어지는 경우입니다.
약 40%에 이르는 파킨슨 환자들에게서 레비 소체 치매가 나타난다고 합니다.
일부 알츠하이머치매에서도 레비 소체가 발생합니다.
이 세가지 치매는 딱 잘라 어떤 치매라고 할 수 없는 것이 주요 특징들이 겹쳐서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저희 어머니께서는 처음에 알츠하이머로 진단 받았습니다.
나중에 파킨슨도 발병하고 병원 검사 결과 사진을 보니 뇌 바깥층의 회색질도 매우 두껍게 나타난걸 볼 수 있었습니다.
어느것으로 시작이 되었느냐의 차이일 뿐 나중엔 모두 비슷한 뇌손상 영역으로 나타나는 것 같습니다.
레비 소체를 동반한 치매를 구분 짓는 가장 큰 특징이라면 자세히 묘사할 수 있을 정도로 선명한 환시입니다.
또한 인지기능이 악화되었다가 급격히 호전되기를 반복하기도 합니다. 파킨슨과 비슷한 운동 기능 저하가 나타나고 혼돈, 실신, 렘수면 행동장애가 동반되기도 합니다.
전두측두엽 치매
주로 40대 – 50대의 중년기에 발병합니다. 흔히 ‘성격이 너무 변했다’ 는 인상을 줍니다.
기억력 저하는 심하지 않으나 주변에 무관심하고 충동적인 행동을 하거나 부적절하고 기이한 행동을 합니다.
말수가 줄어들고 말뜻을 잘 이해 못하는 등의 언어 장애가 초기에 두드러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HIV 관련 치매
HIV 관련 치매는 면역결핍 바이러스(HIV)에 뇌가 감염되어 퇴화하는 치매입니다.
비교적 젊은 사람들에게 많이 나타납니다. 말기 HIV 감염자의 경우 면역계가 약해져 있기 때문에 약 27% 에게서 치매가 발견됩니다.
대체로 발생시기를 알수 없고 수개월에서 수년 동안 서서히 진행됩니다.
대체로 HIV 감염의 다른 증상들이 나타난 후 말기 쯤에 뇌로 HIV 바이러스가 감염되면서 치매로 이어지는 듯 합니다.
주된 증상은 사고력과 사고력과 표현력에 불편을 겪습니다. 어떤 경우는 안절부절 못하고 충분한 생각없이 행동하는 등 과한 활동 모습을 보입니다.
마무리
치매의 종류 5가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40대인 나의 증상들과 비슷한 점들도 발견되니 걱정이 앞섭니다.
예전과 달리 사람들의 말뜻 알아듣기도 힘들고 판단력도 떨어지고 자주 무기력해지는 것들이 이미 진행되고 있는건 아닌지 불안하네요.
그래도 아직은 좀 굼뜨지만 기억력이 악화된건 아니니 회복가능성이 있지 않을까요?